1) 계절별 지배 기단의 종류
한반도가 위치한 중위도 부근에서는 편서풍과 평탄한 지역이 크게 없고 해양과 대륙과 경계가 많다 보니 기단이 발생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게 됩니다. 기단 분류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은 봄철과 늦가을에 주로 영향을 미친 대륙성 열대기단(cT)에 해당하는 양쯔강 기단, 여름철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성 열대기단(mT)에 해당하는 북태평양 기단, 겨울철에 영향을 미치는 대륙성 한대 기단(cP)에 해당하는 시베리아 기단, 초여름과 초가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해양성 한대 기단(mP)에 해당하는 오호츠크해 기단, 여름철 태풍의 내습에 따라 일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적도 기단(mE)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양쯔강 기단
현재 이 기단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양쯔강 이남 지방이 기단의 발원지로서 부적합하기 때문에 시베리아 기단에서 변질된 cPw나 북태평양 기단이 변질된 mTc로 보기도 합니다.
양쯔강 기단은 3~4일 간격을 두고 이동성 고기압의 형태로 우리나라에 다가오며, 초기에는 불안정하지만 너무 건조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유입될 경우 온난하고 건조한 날씨를 보입니다. 또한 양쯔강 기단과 시베리안 기단 사이에서 강하게 발달한 기압골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중국 서부나 몽골 등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먼지가 날아와 황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양간지풍으로 대표되는 봄철 강풍도 이 시기에 남고 북저의 기압 형태에서 강한 기압 경도력에 의해 국지적 돌풍과 강풍이 자주 발생하기도 합니다.
(2) 오호츠크해 기단
늦은 봄에서 이른 여름에 걸쳐 오호츠크해의 수온이 주위보다 낮아지면서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이 고기압 내에서 발생되는 기단이 오호츠크해 기단으로, 비교적 한랭하고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초여름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오호으크해 기단과 관련된 가장 큰 기상 현상은 장마전선의 형성입니다. 초여름에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남쪽으로 확장되면서 북태평양 기단과 만나 정체전선이 형성되며, 이 정체전선이 한반도에 영향으 미치게 됩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장마시기에도 장마 강수량이 적거나, 최근('22.8.8. 서울 400mm 폭우)과 같이 2차 장마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생하는 등 기존에 보아왔던 장마와 점차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호츠크해 기단은 일반적으로 7월 중순 이후 북태평야 고기압이 한반도를 지배하면서 북동쪽으로 물러나게 되지만, 7월 말에서 9월 중순 사이에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 현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연변의 대기 불안정 구역에서 발생하는 중규모 대류계에 의한 집중호우를 야기하는 복합 구름층에 한랭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3) 북태평양 기단
겨울이 지나 태양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위도 고압대가 북상하게 되면 북태평양의 따뜻한 열대 바다는 기단의 좋은 발원지가 됩니다. 따라서 북태평양 기단은 온난다습한 기단이며 열대의 특성인 조건부 불안정을 가집니다.
북태평양 기단은 본래 최하층부가 온난 습윤하여 불안정하며, 우리나라에 접근한 경우 따뜻한 육지를 만나 기온감률이 증가하여 공기는 더욱 불안정해지고, 쉽게 변질됩니다. 우리나라 남쪽에서 북태펴양 기단은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에 의한 상승 응결 효과가 결부되어 강한 폭우를 유발하기도 하며, 서쪽에서는 서해상의 하층에서 온난 습윤한 공기와 상층의 한기유입으로 인한 뇌우를 동반한 집중호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때때로 강한 일사로 적운 또는 적란운이 발달하여 소나기와 뇌우를 동반하며 폭염과 열대야 또한 이 시기에 발생하게 됩니다. 최근 기후변화의 결과로 국지적 집중호우의 발생이 급증하는 경향이며, 특히 7월 말~9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북태펴양 고기압 연변에서 발생하는 편입니다.
(4) 시베리아 기단
대륙성 한대기단의 대표적인 예로 고위도의 광대한 시베리아 지역이 발원지입니다. 여름에는 대륙이 너무 데워지기 때문에, 이 기단은 늦가을에서 겨울철, 이른 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칩니다. 시베리아 기단이 우리나라로 확장할 때 기압배치는 아시아 대륙에 고기압이 넓게 위치한 형태로 강한 북풍 또는 북서풍이 부는 서고동저형입니다.
본래 시베리아 기단은 강한 북서풍을 동반하는 매우 한랭 건조한 기단으로, 전반적으로 맑고 기온이 낮습니다. 그러나 시베리아 기단은 한반도로 확장하면서 주로 확장하는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기상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lake effect로 대표되는 서해상의 강설 구름이 있습니다. 또한 강한 기압 경도력과 경도풍의 영향으로 해안과 산악지역에 강풍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남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동쪽으로 장출하게 되면 동해상과 태백산맥 동쪽 부근에 강한 강설을 포함한 구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기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도 종류 및 특성(지상 일기도) (0) | 2022.08.16 |
---|---|
종관 규모 기상 시스템 (0) | 2022.08.16 |
기단(Air mass)은 무엇인가-1(개념) (0) | 2022.08.15 |
일기예보의 판단과정-3(자연의 계층) (0) | 2022.08.15 |
일기예보의 판단과정-2(사람의 계층) (0) | 2022.08.15 |
댓글